FC 서울 2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서울 2군은 FC 서울의 2군 팀으로, 1983년 창단 이후 1군과 구분 없이 운영되다 1990년대 R리그가 시작되면서 본격적으로 조직되었다. R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유망주를 발굴, 이청용, 기성용 등 K리그에서 성공한 선수들을 배출했다. 2016년부터는 21세 이하 선수 및 1군에서 제외된 선수들로 구성되어 R리그 중부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윤희준 코치가 코칭스태프를 이끌고 있다. R리그 챔피언십에서 5회, R리그 권역리그에서 6회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C 서울 2군과 아카데미 - FC 서울 아카데미
FC 서울 아카데미는 FC 서울의 유소년 시스템으로, 2007년부터 U-18팀을 시작으로 U-12, U-14, U-16, U-18팀을 운영하며 유소년 시스템을 구축하고 R리그에도 참가한다. - FC 서울 2군과 아카데미 - FC 서울 U-12팀
FC 서울 U-12팀은 FC 서울의 유소년 클럽 산하 12세 이하 축구팀으로, 금석배, 화랑대기, 따오기배, 서울특별시축구협회장배 등 다수의 전국 대회에서 우승하며 꾸준한 성적을 내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축구에 관한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 대한민국의 축구에 관한 - 대한축구협회
1921년 전조선 축구대회를 시작으로 1933년 창립된 대한축구협회는 FIFA 가입 후 아시안컵 우승, K리그 출범, 월드컵 4강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승부조작 논란 등 부정적 사건을 겪었으며, 현재는 승부조작 근절과 유소년 축구 육성을 통해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FC 서울 2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FC 서울 2군 |
풀 네임 | FC 서울 2군 Football Club Seoul Reserve Team |
마스코트 | 씨드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연맹 | 한국프로축구연맹 |
경기장 | GS챔피언스파크 |
소유주 | GS그룹 |
구단주 | 허창수 |
사장 | 장기주 |
단장 | 이재하 |
감독 | 이을용 (대행) |
리그 | R리그 |
시즌 | R리그 2016 |
순위 | 우승 (챔피언십 5회, 권역리그 5회) |
현재 시즌 | FC 서울 2017 시즌 |
웹사이트 | fcseoul.com |
![]() | |
![]() | |
우승 기록 | |
R리그 챔피언십 | 5회 |
R리그 권역리그 | 5회 |
2. 역사
FC 서울은 1983년 창단 이후 1군과 2군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으나, 1990년 2군 리그 시행에 대비해 2군을 조직하여 운영하기 시작했다. 폐지되었던 2군 리그는 2000년부터 R리그로 다시 시작되었고, FC 서울 2군도 체계적으로 운영되었다. 이청용, 송진형, 고명진, 안상현, 한동원, 기성용[1] 등이 2군에서 성장하여 K리그에 안착하였다. 특히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2] 자유계약선수제도를 통해 이청용 등 젊은 선수들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16년부터 FC 서울 2군은 R리그 중부 리그(A조 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2. 1. 창단 초기 (1983-1990)
FC 서울은 1983년 창단 이후 포항 스틸러스나 울산 현대와 달리 1군과 2군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운영하지 않았다. 하지만 1990년부터 시행되는 2군 리그에 대비해 방출 선수들을 최소화하면서 FC 서울 2군을 본격적으로 조직해 운영하기 시작했다.[1]2. 2. R리그 재개와 2군 시스템 정착 (2000-2015)
2000년부터 2군 리그가 재개되면서 FC 서울 2군 또한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이청용, 송진형, 고명진, 안상현, 한동원, 기성용[1] 등은 2군에서 기량을 향상시켜 K리그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대표적인 선수들이다.특히 2001 시즌을 마지막으로 드래프트제가 폐지되고 자유계약선수제도가 시행되었던 2002 시즌부터 2005 시즌 동안[2] 이청용을 비롯한 젊은 선수들을 발굴하고 체계적인 훈련을 거쳐 대형 선수로 성장시킨 성과가 있었다.
2. 3. 현재 (2016-)
2016년을 기점으로 '''FC 서울 2군'''은 FC 서울 성인 선수단 중 즉시 전력에서 제외된 선수들과 21세 이하 선수들로 구성된 팀으로 R리그 중부 리그(A조 리그) 소속으로 참가하고 있다.[1]3. 코칭스태프
3. 1. 역대 코칭스태프
2003 시즌까지는 코치 중 한 명이 2군 전담 코치가 되어 감독 역할을 하였으며, 윤희준 코치와 김일진 GK 코치가 있었다.[1] 2004 시즌부터 김귀화 감독, 손현준 코치의 2군 전임 감독과 코치 체제가 시작되었다.[1] 2016 시즌부터 다시 코치 중 한 명이 2군 전담 코치가 되어 감독 역할을 하고 있다.[1]4. 우승 기록
R리그 챔피언십에서 5회 우승(2000, 2002, 2004, 2010, 2016)과 3회 준우승(2001, 2003, 2005)을, R리그 권역리그에서는 5회 우승(2000, 2005, 2006, 2010, 2016)과 4회 준우승(2001, 2002, 2003, 2004)을 기록했다.
4. 1. R리그 챔피언십
연도 | 기록 |
---|---|
2000 | ● 우승 |
2001 | ● 준우승 |
2002 | ● 우승 |
2003 | ● 준우승 |
2004 | ● 우승 |
2005 | ● 준우승 |
2010 | ● 우승 |
2016 | ● 우승 |
4. 2. R리그 권역리그
연도 | 우승 | 준우승 |
---|---|---|
2000 | FC 서울 2군 | |
2001 | FC 서울 2군 | |
2002 | FC 서울 2군 | |
2003 | FC 서울 2군 | |
2004 | FC 서울 2군 | |
2005 | FC 서울 2군 | |
2006 | FC 서울 2군 | |
2010 | FC 서울 2군 | |
2016 | FC 서울 2군 |
5. 역대 시즌 통계
FC 서울 2군은 R리그에서 여러 차례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R리그는 1991년부터 1999년,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중단되기도 하였다.
5. 1. R리그 권역리그 기록
시즌 | 리그 | 순위 | 팀수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R리그 챔피언십 | 감독 | |
---|---|---|---|---|---|---|---|---|---|---|---|---|---|---|
1990 | 단일리그 | 4위 | 5 | 12 | 4 | 3 | 5 | 18 | 20 | -2 | 11 | 미개최 | 정해성 | |
2000 | 중부리그 | 우승 | 5 | 16 | 8 | 4 | 4 | 32 | 22 | +10 | 28 | 우승 | 신재흠 | |
2001 | 중부리그 | 준우승 | 5 | 16 | 9 | 1 | 6 | 31 | 29 | +2 | 28 | 준우승 | ||
2002 | 중부리그 | 준우승 | 6 | 20 | 11 | 6 | 3 | 44 | 22 | +22 | 44 | 우승 | ||
2003 | 중부리그 | 준우승 | 5 | 16 | 9 | 4 | 3 | 30 | 17 | +13 | 31 | 미개최 (공동 우승) | 김귀화 | |
2004 | 중부리그 | 준우승 | 6 | 15 | 6 | 6 | 3 | 20 | 19 | +1 | 24 | 우승 | ||
2005 | 중부리그 | 우승 | 6 | 20 | 12 | 4 | 4 | 36 | 23 | +13 | 40 | 준우승 | 최기봉 | |
2006 | A조 리그 | 우승 | 4 | 18 | 8 | 3 | 7 | 31 | 27 | +4 | 27 | 3위 | 김성남 | |
2007 | A조 리그 | 5위 | 5 | 16 | 4 | 6 | 6 | 17 | 20 | -3 | 18 | 진출 실패 | ||
2008 | 중부리그 | 5위 | 7 | 18 | 6 | 4 | 8 | 30 | 37 | -7 | 22 | 진출 실패 | ||
2009 | A조 리그 | 5위 | 5 | 12 | 1 | 4 | 7 | 11 | 26 | -15 | 7 | 진출 실패 | ||
2010 | A조 리그 | 우승 | 8 | 14 | 10 | 3 | 1 | 32 | 10 | +22 | 33 | 미개최 (공동 우승) | 최진한 | |
2011 | A조 리그 | 5위 | 8 | 21 | 8 | 4 | 9 | 33 | 29 | +4 | 28 | 미개최 (공동 우승) | 김성남 | |
2012 | A조 리그 | 4위 | 6 | 15 | 3 | 3 | 9 | 18 | 32 | -14 | 12 | 미개최 (공동 우승) | 김성남 (–2012년 7월) | |
2016 | A조 리그 | 우승 | 8 | 14 | 9 | 2 | 3 | 32 | 12 | +20 | 29 | 미개최 (공동 우승) | ||
2017 | 단일리그 | 미개최 (공동 우승) | ||||||||||||
2018 | 중부 리그 | 우승 | 미개최 (공동 우승) |
†. 1991-1999년, 2013-2015년 R리그는 중단되었다.